728x90
반응형

언어학의 재조명 3

언어와 사회화

언어와 사회화 사람은 사회적인 존재로서 타인과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 이를 ‘사회화’라고 한다. 국어사전에 따르면 사회화란 ‘인간의 상호 작용 과정 또는 인간이 사회의 한 성원으로 생활하도록 기성세대에 동화함’이라고 정의한다. 김하수(2008)는 《문제로서의 언어1》에서 언어가 가지는 사회화에 대해 강조하며, 세 단계의 사회화를 제시하였다. 일차 사회화는 ‘가정’에서 이루어 지는 과정이다. 한 아이가 태어나 가족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라나며 모국어(일차 언어)를 습득해 가는 과정에서 기본적인 행위 유형과 사유 방식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 이차 사회화는 ‘교육제도’ 안에서 이루어 지는 과정으로 대부분 학교에서 이루어진다 . 이 단계에서는 가정에서 이루어진 기본적인..

언어의 영향력

우리는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가? 혹은 우리는 어떠한 어휘, 단어들을 선호하는가? 일반 소비자들은 '다방'보다는 '커피숍'에 갈 때에, '커피숍'보다는 '카페'에 갈 때에 더 많은 금전 지출은 각오한다.[김하수(2008), ,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p169~170.] 빵집-베이커리, 휴대전화-스마트폰, 사진사-포토그래퍼 등등의 관계만 보더라도 한국어 표현보다도 외래어로 쓰였을 때, 더 큰 권력과 이익을 동반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서구사회에 대한 맹목적인 동경심에서 비롯된 권력의 관계, 사대주의와도 상관 관계가 있어 보인다. 또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외래어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익은 대부분 사용자가 아니다는 점이다. 사실상 그 언어를 사용함으로 발생하는 이익과 영향은 사용..

바른 언어 사용

"뱀이 물을 마시면 독이 나오고, 양이 물을 마시면 젖이 나오듯이, 인터넷이나 거기에 사용되응 언어에 문제의 출발이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어떤 체질의 사회를 꿈꾸고 읶으며, 그쪽을 향해 어떤 수단을 어떻게 이용할 것이가 하는 성찰이 맨 먼저가 아닌가 싶다." 김하수,《과천礼문화》3호, 과천문화원. 2005. 유치, 초등, 중학의 아이들과 함께 교직생활 8년차(공립 2년, 기독교대안학교 6년)가 되어간다. 그러면서 내가 가르치는 언어는 무엇인지, 그리고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에는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해 참 많이 고민했다. 그러면서 '학교'라 하면, 지식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전인격적인 성장을 도와야 하는 곳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그러면서 내 수업에서 문화요소들을 뽑아 인성교육을 시작했고 ..

728x90
반응형